기록
article thumbnail
728x90

출처 : YES24

독서기간

독서진행 : 45-47% (ebook)

독서기간 :  2023-03-21 ~ 

 

오늘의 메모


- 어림잡아 계산한다고 분해까지 대충해서는 안된다. 분해라는 행위는 가능한 잘게 해야 한다.
- 더 이상 잘게 나눌 수 없을 것 같다는 느낌이 들 때까지 분해했다면, 각 요소에 대해 직감적으로 수치를 가정해본다.
- 시간을 누락 없이, 중복 없이 분해함으로써 '어떻게 하면 여유롭게 일할 수 있을까? 라는 질문에 힌트를 얻을 수 있다. 어쩌면 너무 당연한 이야기처럼 들릴지도 모른다. 하지만 현실은 어떤가? 여러분의 뇌는 순식간에 분해할 수 있을까? '일을 좀 더 효율적으로 해보는 게 어때?' 라는 수박 겉핡기식 조언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지 않을까? 거듭 말하지만, 알고 있다는 것과 할 수 있다는 것은 하늘과 땅 차이다.
- 우리가 비지니스나 일상생활에서 '분해 뇌'를 활용해야 할 대상은 숫자만이 아니다. 

연습문제

집에서 가장 가까운 편의점 하루 매출액은 얼마라고 생각하는가? 어림잡아 계산해보시오.
* 평일/ 영업시간 (08:00 ~ 22:00) 라고 가정한다.
1,539,000원

 

(매출액) = (객단가) X (고객 수)

              = (객단가) X {(동네 생활주민 고객 수 ) + (취객 수)}

              = (객단가) X {(동네 생활주민 고객 수) + {(흡연자 취객 수) + (비흡연자 취객 수 )}}

              = (객단가) X {{(오전시간 고객 수) + (점심시간 고객 수) + (퇴근 고객 수 )} + {(흡연자 취객 수) + (비흡연자 취객 수 )}}

              = {(객단가) X (오전시간 고객 수)} + {(객단가) X (점심시간 고객 수)} + {(객단가) X (퇴근 고객 수 )}  + {(객단가) X {(흡연자 취객 수) + (비흡연자 취객 수 )}}

 

 

{(객단가) X (오전시간 고객 수)}  = {(3000) X (08:00 ~ 11:00 ) X (10분) X (평균 이용 수)} 

                                                    = 3000 X 30 X 2 = 180,000

 

{(객단가) X (점심시간 고객 수)}  = {(6500) X (11:00 ~ 17:00 ) X (10분) X (평균 이용 수)}

                                                    = 6500 X 60 X 2 = 780,000

 

{(객단가) X (퇴근 고객 수)}  = {(6500) X (17:00 ~ 20:00 ) X (10분) X (평균 이용 수)}

                                                    = 5500 X 30 X 3 = 495,000

 

{(객단가) X {(흡연자 취객 수) + (비흡연자 취객 수 )}}  = {(10500) X (20:00 ~ 22:00 ) X (10분) X (평균 이용 수)}

                                                    = 10500 X 2 X 4 = 84,000


예상 계산을 하고 기사를 찾아보니, 아주 긍정적으로 계산했다. 집 앞 편의점을 다양한 시간대에 많이 왔다갔다 

기사 작성일이 2013년 5월이라서 물가가 많이 오른 걸 생각하면, 다르기도 하다. 그래도 무언가 돈 벌겠다고 하면 그 대상을 많이 지켜봐야겠다. 막상 생각해보니 어림잡아 생각하고 내 기준으로 고객을 특정하는 게 느껴졌다.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585734.html

 

상업지역 편의점도 하루매출 100만원 안된다

상권·지역별 카드매출 첫 분석 공정위 계산법 따르면 월 39만원도 못버는 셈

www.hani.co.kr

더보기

객단가

상거래에서 고객 1인당 평균매입액을 말한다. 일정기간의 매출액을 그 기간의 고객수로 나누어 산출하는 것으로 매출액을 분석하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야마다 씨는 일할 때 "바쁘다." "시간이 없다." 라고 푸념하는 입버릇이 있다. 그런 야마다 씨에게 여유롭게 일할 수 있도록 조언하고 싶다. 어떤 조언을 하면 좋겠는가?

* 나의 작업 근무로 바꾸었다.

- 예상은 아래 차트와 같은데 일주일 업무를 기록해봐야겠다.

- 하루하루 다양한 업무를 하기때문에 측정 못하는 건 아닐 거다. 내 생각에는 업무 전환하면서 흐름 끊기는 시간을 따로 측정해보면 될 거 같다.

- 분명 패턴이 있을 것이다.

 


메모 내역

2023.05.02 - [습관/독서] - 우리에게는 수학적 사고가 필요하다 - Day 4

2023.03.30 - [습관/독서] - 우리에게는 수학적 사고가 필요하다 - Day 3

2023.03.29 - [습관/독서] - 우리에게는 수학적 사고가 필요하다 - Day 2

2023.03.23 - [습관/독서] - 우리에게는 수학적 사고가 필요하다 - Day 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