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
article thumbnail
728x90

배경

우연히 도서관에서 본 책에서 심기체 장단점을 분석해 보라는 글귀가 마음에 들어왔습니다. 나만의 심기체의 강점과 약점을 분석해보고 싶어 졌습니다. 책상에 앉아서 노트 프로그램을 켜서 적어보지만, 강점과 약점을 분류하는 것이 막연해서 어려웠습니다. 어디서부터 시작할지 고민하다가 소프트 스킬이라고 불리는 단어를 무작정 찾아서 간단하게 10점 척도로 스스로 점수를 주어 수치화해 보니 막연하다고 느낀 감정이 꽤 명확해졌습니다. 자기 확언 리스트를 만드는 데도 많이 도움 됐는데, 강점과 약점으로 나눠보고자 시작했습니다.

 

2023.09.03 - [습관/독서] - 강백호처럼, 영광의 순간을 - 슬램덩크 승리학

 

강백호처럼, 영광의 순간을 - 슬램덩크 승리학

-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어떨지와 관계없이 이렇게 되고 싶다라는 목표로 간직하고 있으면,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근거가 뒤따라온다. - 다른 사람 말에 따르면 이 정도라니까, 상식적으로 생

hyangforest.tistory.com

 

2023.09.29 - [개발/Optimism] - [자기인식] 10점 척도로 셀프 역량 평가로 뽑아낸 자기암시 리스트 Version 1

 

[자기인식] 10점 척도로 셀프 역량 평가로 뽑아낸 자기암시 리스트 Version 1

역량 셀프 평가하기 사람의 성격에 관한 주제로 chatGPT로 정보를 수집하고 있었는데 제공받은 정보가 이해하기 쉬워 자주 사용하는 직무 역량의 리스트와 상세 설명을 요청하였습니다. 최근 관

hyangforest.tistory.com

기능 구성 

  • 보유한 기술적 스킬과 사회적 역량을 강점과 약점으로 분류
  • 기술적 스킬은 익숙하거나 사용해본 경험이 있으면 강점,  공부 중이면 약점, 들어는 봤다 모름으로 분류
  • 모름(1점)은 분류 표에 조회 안되도록 조건 처리
  • 사회적 역량은 셀프 평가 10점 척도 진행 후 5점 이상 강점, 5점 미만 약점

기획

ver 1.0.0

카드 형태에 수직 막대기 구분선이 있는 분류 표 형태입니다.


ver 1.0.1

  • 강점과 약점 제목 옆에 분류 기준 설명하는 용도의 tooltip 추가하였습니다.

화면

분류표

화면을 만들다보니 기존 서비스의 UI를 많이 참고했습니다. 점핏(https://www.jumpit.co.kr/) 구직 플랫폼의 사용 기술 UI가 정말 마음에 들어서 한번 따라 해봤습니다. 로고 이미지 때문에 webp 변환을 해봤는데, 사이트를 이용하다 보니 하루 개수 제한이 있어서 직접 만들어볼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기술 아이콘 이미지 추가
  • 이미지 webp 변환하여 사용
  • 강점과 약점 제목에서 분류 표의 강점과 약점으로 tooltip 위치 이동
  • 스킬과 역량 조회마다 랜덤 정렬

분류 기준 설명용 tooltip

핀터레스트에서 tooltip 검색해보니 tooltip 박스 배경을 그라데이션을 이용해서 만든 사람이 있어서 참고해서 만들어봤습니다. 

참고 사이트
점핏 : https://www.jumpit.co.kr/
핀터레스트 : https://www.pinterest.co.kr/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