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2층에 사유의 방이 있습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로 지인이 꼭 가보라길래 갔는데 국보 반가사유상 두 점이 있었습니다.

사진에 담기지는 않는데, 검정색과 주황 조합이 꽤 좋았습니다. 해가 저물 때 마지막으로 있는 힘껏 타오르고 순식간에 어둠이 찾아오는 풍경이 생각났습니다. 무게감 있으면서도 밝은 느낌, 고급진 느낌이 아주 좋았습니다. 전시실은 경사를 주어 육체도 함께 반가사유상에 집중하게 됩니다.

위의 조명도 참 예쁩니다. 많은 관람객들이 있어 두 반가사유상을 360도 바라보기는 조금 부담스럽습니다. 그래도 반가사유상의 유려한 곡선이 잘 보입니다.
반가사유상은 석가모니가 태자였을 때 인생의 덧없음을 사유하던 모습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태자사유상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제작시기는 삼국시대 6-7세기이며 국보 78호, 83호입니다. 대표 사진은 83호입니다. 78호가 좀 더 화려하지만 저는 83호에게 더 끌렸습니다. 헛헛한 마음이 들면서 안정되는 기분도 들고 자꾸 시선이 83호에게 더 눈길이 갔습니다. 그렇지만 전시실을 한 바퀴를 돌 때 뒷 모습은, 78호에게 더 끌렸습니다.
아쉽게도 사람이 많아 혼잡스럽습니다. 깊은 생각을 하며 반가사유상을 바라볼 순 없었습니다. 다들 조용히 감상하시지만 사람이 뿜는 에너지에 제 에너지가 쑥 꺾였습니다. 평일을 기약하며 서둘러 전시실을 나왔습니다.
석굴암도 좁은 공간에 많은 사람이 왕래하는데도 알 수 없는 웅장함에 계속 바라볼 수 있었는데 사유의 방은 힘들었습니다...
참고
https://naver.me/FnnqxpVE
https://naver.me/5nPdh2HF
'개발 > Tr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러운 생각 그렇지만 명랑하길, 예술가의 방 환기미술관 (0) | 2023.08.31 |
---|---|
[여행스케치] 강화도 : 나룻부리항시장에서 아이스크림 까먹기 (1) | 2023.08.07 |
바람의 나라가 떠오르는, 강서대묘 (0) | 2023.06.27 |
강화도 : 외규장각의 소나무 아래 쉼 (3) | 2023.06.17 |
고종의 서재 - 집옥재 (1) | 2023.06.14 |